(A,B,C 3인이 경기할 때 1이닝은 A가, 6이닝은 B가, 11이닝은 C가 초구 배치에서 출발하며 경기순서는 동일하게 (1~5이닝 A-B-C / 6~10이닝 B-C-A / 11~16이닝 C-A-B)진행함. 5~6이닝의 사이 및 10~11이닝의 사이에 5분간 휴식하며 다음에 초구 배치로 시작할 경기자가 테이블 정리 및 공 배치를 담당함)
각 경기자는 자기 차례의 첫 큐에서 레이아웃샷(공 2개를 4구처럼 맞히면서 공의
배치를 조정하는 기회)을 사용할 수 있음
만일 첫 큐에서 3쿠션 득점하면 그대로 득점이 인정되며 계속하여 3쿠션 득점을 시도함. 레이아웃샷에서 공 2개를 맞히지
못하면 공격권 상실하여 다음 선수에게 넘어감.
각 대회의 개인시상 및 단체시상은 핸디를 적용한 성취율에 따라 정함
예를 들어 개인전에서 16이닝 동안 똑같이 21점을 득점한 경우라도 핸디가 18점인
A선수의 성취율은 21÷18=1.167이고, 핸디가 21점인 B선수의 성취율은 21÷21=1이며,
핸디가 30점인 C선수의 성취율은 21÷30=0.7이다. 따라서 개인전의 순위는 1위 A,
2위 B, 3위 C가 된다. (성취율이 동률일 경우 백카운트 규칙에 따름)
단체전도 팀원 6인의 성취율을 더하여 총점이 높은 순으로 순위를 결정함.
(6인으로 구성된 팀이 4인으로 구성된 팀보다 유리)
1~6차 대회 종료 후 10경기 이상 참가한 선수에게는 10경기 중에서 최저득점 경기를 제외한 9경기의 평균득점수로 레이아웃3쿠션 공식핸디를 부여함. (추후에 L3C 공식대회에서 공인점수로 사용)